[MBK 파트너스 투자 역사] 사모펀드의 투자법? (feat. MBK 홈플러스 펀드 내부수익률 28%)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기업 중 경영난에 빠진 곳은 홈플러스가 처음이 아니다. 과거 사례들이 재조명되면서 MBK파트너스의 문어발식 인수에 대한 비판 여론도 적잖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761869
MBK 파트너스 경영 역사
1.
2008년 케이블TV 사업자인 딜라이브(옛 씨앤앰방송)를 맥쿼리와 함께 1조4600억원에 인수
인수대금을 상환하지 못해 결국 2016년 채권단으로 경영권 회수
2.
2009년 영화엔지니어링 1000억원에 인수
2016년 법정관리 신청
2017년 영화엔지니어링 지분을 496억원에 연합자산관리(유암코)로 매각
3.
2013년 네파 9970억원에 인수
인수 당시 순이익 1052억원
2023년 1101억원으로 당시순손실 적자 전환
4800억원가량은 인수금융을 통해 조달
네파 인수를 위해 설립한 티비홀딩스는 2015년 네파와 합병
매년 200억~300억원대 이자 부담이 네파에 전가
2023년까지 네파가 부담한 금융비용만 2700억원
4.
2015년 홈플러스 7조 2천억원에 인수
2025년 기업회생 절파 돌입.....
사모펀드(私募─, Private Equity Fund(PEF))
소수의 비공개로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고수익기업투자펀드라고도 한다. 고수익을 추구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크다. 소수 투자자들로부터 단순 투자 목적의 자금을 모아 펀드로 운용하는 주식형 사모펀드(일반 사모펀드)와 기관으로부터만 자금을 조달하는 기관전용 사모펀드, 그리고 특정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인수해 기업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가치를 높인 후 주식을 되팔아 수익을 남기는 사모투자전문회사로 구분한다.
출처 기획재정부
사모펀드는 돈을 벌기위한 고수익기업투자펀드입니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버는데
최우선을 둡니다.
그렇게하기위해
시장에 매물로 나온 기업을 매수해서
추후 그 기업을 팔아서 이익을 취합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MBK파트너스의
과거 경영 능력을 보면 이상한 점이 많습니다.
대부분 인수한 기업이 적자 전환을 하고
경영권을 다시 넘겨주거나
헐값에 팔아버립니다.
모든 적자는 인수한 기업이 보고
MBK사모펀드는 이익을 취합니다.
홈플러스 사태를 봐도 MBK는 홈플러스로
많는 이익을 보았습니다.
단지 적자를 본건 홈플러스일 뿐입니다.
사모펀드는 절대 손해보는 장사를 하지 않습니다.
이익을 내지 못하면 다음 펀드 투자자를 구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사모펀드는 소수의 시장 참여자가 주를 이루는
시장이고 일반 대중의 짤짤이 돈을 받는게 아니라
기업, 큰손의 목돈을 받아 큰 투자를 합니다.
그래서 펀드 참여자를 비공개로 관리하고
투자금에 대한 높은 수익이 필수입니다.
MBK는 국내외 대형 투자자(LP) 돈을 모아 개별 펀드를 조성하고, 이 펀드를 통해 투자한다. 홈플러스 인수 펀드는 MBK가 2013년 조성한 ‘블라인드 펀드’로, 홈플러스 외에 ING생명, 두산공작기계 등에도 투자했다. 내부수익률(IRR)이 이미 28%에 달한다. 홈플러스의 잔여 지분 가치를 사실상 거의 없는 것으로 처리했는데도, 성공적인 펀드로 평가받는다.
MBK가 홈플러스 채무를 갚기 위해선 추가 펀드를 조성해야 하는데, 이미 대규모 적자를 내는 사업에 투자할 LP를 찾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MBK 입장에선 회생절차를 밟아 일부 자금이라도 회수하는 것이 합리적인 대안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인력 감축 등 사회적 논란이 부담이 될 수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03483
홈플러스 적자에도…MBK 펀드는 28% 수익
국내 3위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돌연 회생절차에 들어가자 유통업계뿐 아니라 금융사와 일반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선제적 조치”란 회사 측 설명
n.news.naver.com
MBK사모펀드 내에서 홈플러스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이미 내부수익률 28%라는
높은 수익을 보았습니다.
이제 홈플러스 신용등급도 떨어졌으니
이제 처분을 하고 다음 스탭으로 넘어가는 것입니다.
경영자 관점에서는 이상할수 있지만
사모펀드업계 입장에서는 성공한 투자 후
넥스트 스탭을 밟기전 정리하는 단계라고 생각됩니다.
MBK 파트너스의 다음스탭이 고려아연,
CJ 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문입니다

고려아연 mbk
mbk 홈플러스
mbk 중국
mbk 회장
mbk 김병주
mbk 고려아연
mbk 부재훈
mbk 사모펀드
mbk 뜻
mbk cj
홈플러스 세일
홈플러스 문화센터
홈플러스 휴무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홈플러스 회생
홈플러스 기업회생
홈플러스 전단
홈플러스 영업시간
홈플러스 행사
홈플러스 폐점
고려아연 mbk
고려아연
고려아연 주가
고려아연화재
고려아연사태
고려아연 중국
고려아연채용
고려아연연봉
고려아연 가처분
고려아연 주식
네파패딩
네파 트레킹화
네파 롱패딩
네파 아르테
네파 칸네토
네파 안전화
네파 바람막이
네파 경량패딩
네파키즈패딩
네파 등산화
사모펀드 뜻
사모펀드
사모펀드 회사
사모펀드 mbk
사모편드 연봉
사모펀드 홈플러스
사모펀드 순위
사모펀드 매각
사모펀드 인수
사모펀드 투자
#사모펀드먹튀 #mbk경영먹튀 #mbk먹튀